나노신소재 주식 주가 전망(저평가된 CNT 도전재 소재)

반응형

1. 나노신소재 회사 개요




(1)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등의 나노 소재 제조 업체



- 디스플레이, 반도체, 태양전지 등 소재 제조업을 목적으로 2000년 3월 설립되었으며, 주요 제품은 투명전도성 Target 소재, CMP slurry, 박막태양전지 등임.


- 세종특별자치시에 본사를, 대전 유성구와 일본에 지점을 두고 있으며, 2011년 해외마케팅을 목적으로 미국법인을, 2019년 나노소재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중국법인을 설립함.


- 미국의 Applied Materials사와 공동으로 협업한 TCO Rotary target 제품의 공급 확대 및 Silver nano ink/paste 소재의 양산 진행 중.




(2) 현황 : 매출 성장 및 수익성 상승




- 태양전지 사업의 부진에도 전방 사업의 호조로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부문 매출이 증가하였으며, 이차전지 사업의 본격적인 매출 반영으로 전년동기대비 외형 성장.


- 원가율 상승에도 매출 증가에 따른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하였으며, 투자자산평가손실 제거 등 기타수지 개선으로 순이익률 상승.


- 디스플레이 사업의 투자 확대, 반도체용 CMP 슬러리와 태양전지 소재의 수주 증가 기대, 이차전지용 CNT도전재와 중공형 저반사 소재의 성장세로 매출 성장 전망.


 



2. 나노신소재 투자 포인트





(1) 2022~2023 년부터 CNT 도전재 적용 본격적으로 확대될 전망



당사는 지난해 7 월 8 일에 발간된 보고서(3 가지 마법의 가루)를 통해 향후 전세계 배터리 업체들이 에너지밀도 향상, 충전시간 단축 등의 성능 개선을 위해 준비 중인 실리콘 음극재와 팽창 문제를 억제해주기 위해 반드시 같이 사용해야 하는 CNT 도전재의 활용 방안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실리콘 음극재의 중요성은 지난 3 월에 열린 Volkswagen ‘Power day’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 폭스바겐 그룹은 Porsche Tycan 과 Audi e-tron GT 에 실리콘 음극활물질을 채택 중이며, 이 때 사용되는 음극재용 CNT 도전재는 모두 동사의 제품이 적용되고 있다.



음극재용 CNT 도전재는 용해도가 상당히 낮은 물에 분산해 사용하게 되는데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아 수계 기반의 음극재용 CNT 를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여전히 동사가 유일하다. 이미 동사의 CNT 도전재가 적용됐거나, 연내 적용 예정인 전기차종은 Porsche Tycan 과 Audi e-tron GT 를 포함해 총 4 종인 것으로 파악된다. 주요 배터리 업체들은 2022~2023 년경부터 양극재용 CNT 도전재와 실리콘 음극활물질+ 음극재용 CNT 도전재를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현재 나노신소재는 전세계 대부분의 배터리, 완성차 업체들과 공급을 협의 중이며, 이미 Northvolt 향 공급사로도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설비 투자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고정비 부담, 인건비 등의 증가로 지난해 동사의 실적은 상당히 부진했다.





(2) 2 가지 신사업(CNT 도전재, 중공형 저반사 소재)의 높은 성장성에 주목하자




나노신소재에 주목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중공형 저반사 소재(Hollow silica)에 관한 높은 성장 가능성이다. 디스플레이 저반사 코팅막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중공형 저반사 소재는 지금까지 일본 Nippon Shokubai 가 독점해오던 시장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동사가 이를 국산화하여 4Q20 부터 삼성디스플레이로 공급해 QD-OLED 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언론에 보도된 바와 같이 4Q21 부터 QD-OLED 가 본격 양산될 경우 동사의 중공형 저반사 소재 수요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일본 업체가 독점해오던 소재를 국산화했다는 점에서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사업인 반도체용 CMP 슬러리와 태양전지 소재의 점진적인 매출 증가와 함께 신사업인 CNT 도전재, 중공형 저반사 소재 의 수요 확대가 내년부터 본격화될 경우 지금과는 확연히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다른 이차전지 소재 업체들에 비해 조금은 느리지만 계획대로 신사업을 준비 중인 동사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3) 실리콘 음극재 공급망에 CNT 도전재도 있다



2023 년부터 주요 배터리 업체들이 충전 시간 단축을 위해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에 실리콘 음극재 적용이 본격화되면서 동사의 CNT 도전재 수요도 함께 급증할 전망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동사는 CNT 도전재 Capa.를 2021 년 0.6 만 t(한국, 중국)에서 2024 년 약 4 만 t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일본, 미국, 유럽 확대). 일반적으로 이차전지의 양극재와 음극재는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로 구성되는데 도전재는 전자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CNT 도전재는 음극재용과 양극재용으로 나뉜다. 음극재용과 양극재용에 따라 CNT 도전재의 사용 목적과 기술적 난이도가 전혀 다르다. 기존 흑연 음극에서는 음극재 자체가 전기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도전재가 따로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대다수 전기차 배터리 셀 업체들이 충전 시간 단축을 위해 음극재에 실리콘을 첨가하는 방향으로 개발을 추진하면서 CNT 도전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음극에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할 때 CNT 도전재를 함께 사용하면 CNT가 완충 작용을 해 실리콘 입자의 부피 팽창을 잡아주고, 전기전도성을 높여 전극 수명 및 에너지 특성을 향상시켜주기 때문이다. 음극재용 CNT 도전재는 용해도가 상당히 낮은 물에 분산해 사용하게 되는데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아 수계 기반의 음극재용 CNT 를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동사가 유일하다.



따라서 실리콘 음극재 시장 개화 초기에 동사의 수혜가 상당히 클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양극재용 CNT 도전재는 상대적으로 분산이 용이한 NMP 유기용매를 사용한다. 따라서 음극재용 CNT 도전재와는 달리 동사뿐만 아니라 LG 화학, 동진쎄미켐, Toyo color, C-nano 등의 공급사가 있다. 양극재용 CNT 도전재의 사용 목적은 배터리 체적 에너지 밀도(Volumetric energy dens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데 있다. CNT 도전재의 전자이동도가 높아 기존 도전재인 카본블랙 대비 사용량을 1/5 수준으로 줄여도 동일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바인더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동일 부피 내에서 도전재, 바인더 사용량을 줄이고 NCM, NCA 와 같은 양극활물질 투입량을 높여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고 장수명에 도움을 준다. 특히 기존 리튬 배터리의 화학적 물성 변화를 크게 일으키지 않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4) 2023 년부터 CNT 도전재 수요 급증할 전망



2023년부터 주요 배터리 업체들이 충전 시간 단축과 에너지밀도 개선을 위해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에 실리콘 음극재 적용이 본격화되면서 동사의 CNT 도전재 수요도 함께 급증할 전망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동사는 CNT 도전재 캐파를 2021 년 0.6 만 t (한국+중국)에서 2024 년 약 4 만 t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일본, 미국, 유럽 확대). 기존 흑연 음극에서는 음극재 자체가 전기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도전재가 따로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대다수 전기차 배터리 셀 업체들이 음극재에 실리콘을 첨가하는 방향으로 개발을 추진하면서 CNT 도전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음극에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할 때 CNT 도전재를 함께 사용하면 전기전도성을 높여 전극 수명 및 에너지 특성을 향상시켜주고, CNT 가 완충 작용을 해 실리콘 입자의 부피 팽창을 잡아주기 때문이다. 음극재용 CNT 도전재는 용해도가 상당히 낮은 물에 분산해 사용하게 되는데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아 수계 기반의 음극재용 CNT 를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동사가 유일하다. 따라서 실리콘 음극재 시장 개화 초기에 동사의 수혜가 상당히 클 것으로 기대된다.


 


3. 나노신소재 실적 전망





4Q21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패널 양산에 따른 중공실리카 소재 수혜 예상



최근 언론에 따르면 11 월부터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패널 양산이 본격화되었다. 이에 따라 동사의 신사업인 중공형 저반사 코팅막 소재(중공실리카)의 매출 상승세도 뚜렷할 전망이다. 디스플레이 저반사 코팅막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중공실리카는 지금까지 일본 Nippon Shokubai 가 독점해오던 시장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동사가 이를 국산화하여 삼성디스플레이 대형 QD-OLED 패널 전량에 적용될 예정이다.



2022 년 삼성디스플레이의 대형 QD-OLED 패널 출하량 계획은 약 100 만대 수준으로 파악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동사의 중공실리카 연간 매출은 약 200 억원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일본 업체가 독점해오던 소재를 국산화했다는 점에서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타 패널 업체로도 공급이 추진되고 있어 중장기 실적 성장의 또 다른 축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반영한 2022 년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930 억원(YoY: +47%), 122 억원(YoY: +103%)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4. 나노신소재 주가 전망 기술적 분석






나노신소재의 시가총액은 7,648억(2021/12/07)으로 코스닥 상장기준 106위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나노신소재의 주가는 70,500원으로 (2021/12/07)로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한 상황이다.



나노신소재 주가는 68,100원(2021/11/11) 상한가를 기록하며 3주간 65,000원 구간을 지지했다. 나노신소재 RSI는 60.30 MACD가 4129.86을 기록하고 있어 상승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임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개인/외국인/기관 매매동향을 살펴보면나노신소재 상승 요인은 음극재용 CNT를 생산가능한 유일 기업으로 밸류를 시장에서 인정받으면서 차후 실적 상승이 기대돼 외국인과 기관 수급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상승한 것으로 보여진다.



2021년 12월 07일자 개인/외국인/기관 매매동향을 보면 코스닥과 코스피 시장흐름 약상승 장세에도 불구하고 외국인과 기관이 나노신소재 주식을 공격적으로 매수하며 상승한것으로 보여진다.




나노신소재 주식에 신규 진입을 생각하고 있는 생각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65,000원 이하에서 접근하는게 좋아보이나 최근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대주전자재료 등 2차전지 셀, 소재, 장비 업체의 주가 조정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며 가치를 인정받은 나노신소재라 2차전지 섹터가 움직인다면 같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현 주가도 매력적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5.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한 나노신소재 목표주가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한 나노신소재의 목표주가는 평균가는 94,000원이다. 오늘 폭발적인 상승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33.33%에 가까운 업사이드가 열려있어 지속적으로 나노신소재에 대해 관심을 갖는게 좋아 보인다. 나노신소재의 최고 목표주가는 94,000원 최저가는 90,000원 이다.


 



6. 나노신소재 주가 전망 총평






최근 국내 이차전지 업종 주가는 약 2 년 후의 실적 방향성에 눈높이를 맞추며 움직여왔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수주 산업이기 때문이다. 전기차 신차 개발 기간이 3~4 년 가량 소요된다는 특성상 배터리, 소재 업체들의 2 년 후 공급 예정 물량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낮아 현재 주가에 선반영 되는 것이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현 주가는 2024 년 예상 실적 기준 P/E 20 배 수준으로 동종 업종 내에서 밸류에이션 매력도가 가장 높다. 동사는 내년부터 기존 사업인 반도체용 CMP 슬러리, 태양전지 소재와 함께 신사업인 중공실리카, CNT 도전재 부문의 가파른 성장으로 실적이 지금과는 확연히 달라질 전망이다.



2021년은 이차전지 소재 원가에 40%에 달하는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 양극재 관련주의 폭발적인 성장의 해였다면 2022년에는 상대적으로 덜오른 음극재 소재 또는 관련주의 해가 될 수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며 2022년 목표주가로 나노신소재가 130,000원대까지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 전망해본다.




NOTICE) 위 자료는 투자 판단을 돕기 위한 단순 참고 자료이며 투자의 최종 판단 및 손실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출처 : 하이투자증권, 나노신소재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