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증시에 상장된 달러 인덱스 ETF에 관심이 가는이유 원/달러 환율이 13년 5개월 만에 1380원을 돌파했다. 국내 물가안정과 외화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환율 방어가 시급해 보이지만 정부입장에서도 뚜렷한 묘수가 없는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는 배경엔 인플레이션이 있다. 치솟는 물가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고강도 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영향을 줬다. 미국 금리 급등으로 수익을 노린 자금이 달러로 몰려 다른 국가 통화가치는 떨어진 것이다. 연초부터 이어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수급 차질과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정책 등으로 유로화와 위안화의 약세도 영향을 미쳤다. 기획재정부와 한은의 직접적인 외환시장 개입도 부작용이 적지 않다. 환율 방어를 위해 달러를 매도하더라도 ..
0. 알파벳 주식 투자에 관심이 생긴 이유 원/달러 환율이 하늘 높은줄 모르게 상승하여 13년 5개월만에 1,360원을 돌파했다. 이로 인해 미국주식을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높은 환율로 달러 환전에 대해 고민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고민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20년 평균 환율이 1,180원 정도인데 환율이 어느정도 정상화된다면 1300원대에 1달러를 구매한 사람은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20%까지 환차손이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환차손을 만회하기 위해 그 어느때보다 신중하게 미국증시에 상장된 종목을 투자해야되는데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모두가 잘알고 있겠지만 유튜브 주식, 구글 주식, 안드로이드 주식으로 알려진 지메일, 구글 검색, 유튜브 안드로이드 OS 등을 보유하고 있는 알파벳이라는 종목과 회사..
0. 삼성전자 투자 보단 TSMC 투자가 매력적인 이유를 소개 하기 앞서 삼성전자 소액주주가 600만명이 달하고 있고 삼성전자에 물려있는 투자자들이 많기에 많은 비판이 예상되나 TSMC VS 삼성전자 국면에서 tsmc가 삼성전자 투자보다 매력적인 점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필자의 경우 TSMC의 주주이며 삼성전자 안티도 아니고 투자자도 아님을 밝힌다. TSMC 주주인만큼 뇌피셜과 상대적인 애정과 콩깍지가 있을수 있으니 참고해주시길 바란다. 1. TSMC 회사 개요 글로벌 파운드리 1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1위 업체 TSMC는 1987년 대만에 설립된 최초의 파운드리 전문 기업이다. 현재 TSMC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52%로 압도적 1위다. (2위 삼성전자 파운드리 점유율 17%) TSMC의 전방산업은..
1. 폐배터리 시장이 기대되는 이유 전기차 보급이 급속하게 확대됨에 따라 폐배터리 리사이클 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오는 7월 국내시장에 폐배터리 재활용 대장주로 알려진 성일하이텍 또한 상장을 앞두고 있어 관련 미국주식에도 관심이 높아질것으로 예상돼 폐배터리 관련주로 전세계에서 유일한 순수 배터리 recycle 전문 상장 회사인 리사이클 홀딩스(LICY US)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한다. (1) 배터리 성장 이후 따라오는 폐배터리 산업 폐배터리 시장은 20년 15GWh에서 30년 377GWh로 커질 전망이다. 배터리 생산이 늘면서 스크랩 발생량도 증가하고, 25년부터는 전기차 배터리 교체주기(6~7년)가 도래한다. 전기차 생산이 예상보다 빠르게 늘어 핵심 소재 가격도 치솟고 있는데, 폐배터리 r..
1. 왜 미국 배당주 투자에 주목해야 하는가?(인플레이션 수혜주) 글로벌 각국에서 인플레이션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금리 인상 정책을 펼치고 있다. 불과 2~3년 전, 마이너스 금리 시대의 투자대안을 모색하던 것과는 상반된 흐름이다. 흥미롭게도 그때도 지금도 배당주 포트폴리오가 부각되고 있다. 저금리 시대에는 상대적으로 고금리를 추구하기 위해, 금리 인상기에는 내수 소비주 포트폴리오가 방어주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미국 배당주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발달된 자본시장을 이끌어온 주주친화적 기업들이 포진해 있다. 안정적 실적 성장을 바탕으로 꾸준히 배당 레코드를 쌓으며, 배당왕(50년 연속 증가), 배당귀족(25년 연속 증가), 배당성취자(10년 연속 증가) 같은 네임드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
1. 엔비디아 주가 약세 이유 요약 Appendix 엔비디아의 주가는 연초 대비 -50% 하락하며 부진한 모습 최근 GPU가격이 MSRP까지 하락하며 GPU 수요 감소 확인 암호화폐 급락에 따라 GPU 업체들의 주가도 약세, 과거와 같은 역사의 반복 우려 비탈릭 부테린이 이르면 8월 이더리움 2.0 통합 언급 이후 엔비디아/AMD 모두 큰 폭의 주가 하락, 이는 암호화폐 영향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간접적으로 표출 닌텐도 스위치 판매량 2,880만대에서 2,550만대로 하락 전망 게이밍 사업부는 전체 매출액의 45%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향후 전망에 대한 우려 2. 엔비디아가 갖고 있는 현재 리스크(엔비디아 주가 하락 이유) (1) 암호화폐 채굴 관련 리스크 최근 가파른 주가 하락에는 메크로 이..
1. 테슬라 (Tesla) 기업개요 시가총액 : 1.03조달러(22년 4월 20일 기준) 상장일 : 2010년 6월 29일(공모가 17달러) 주요 주주 : Elon Musk (16.7%), Vanguard(6.0%) 사업구조 : Automotive/차량 (94.8%), 에너지생산&저장(5.2%) 주요사업: - 주력 매출 원인 자동차외에도 상업용,가정용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공 중 - 전기차 시장점유율 : 1위 테슬라 (15.7%), 2위 폭스바겐 (10.6%), 3위 BYD (8.9%) , 4위 GM (7.7%) 전기차 제조 : 2008년 로드스터를 시작으로, 이후 세단 모델 S, SUV 모델 X, 중형세단 모델3, 중형 SUV 모델Y를 순차적으로 출시하며 라인업을 확대중. 향후 로드스터 2세대,전기트럭..
1. 4월 20일자 미국 증시 상황 한국시간 2022년 4월 19일 미국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에 힘입어 넷플릭스는 장마감후 실적 발표를 앞두고 3.18 % 상승했다. 그러나 넷플릭스 순증가입자가 1Q22 -20만명 QoQ (가이던스 250만명) 2Q22 가이던스 -200만명 QoQ 제시되면서 넷플릭스 주가는 장마감후에 25% 폭락하였다. 넷플릭스 주가가 하루만에만 전일 주가 대비 4분의 1이 빠진 충격적인 상황이라 한국 미디어에서도 넷플릭스 관련기사가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넷플릭스의 주가 차트를 보면 시간외 가격인 250$는 700$ 였던 고점대비 3분의 1토막 난 상태인데 이번 하락을 기회삼아 넷플릭스 투자에 접근하려는 투자자들이 많을것으로 생각된다. 과연 넷플릭스의 현 주가는 매력적인지 이번..
1. 12월 FOMC takeaways : Predictable hawk (예측가능한 매) 연준은 12월 FOMC에서 1) 내년 1월부터 테이퍼링 속도를 기존 월간 150억 달러에서 300억 달러로 가속화하기로 결정했고, 2) 점도표를 통해서는 FOMC 참여자 17명 중 10명이 2022년 중 3차례 금리인상이 적절함을 전망하였다. 또한 3) 파월 의장은 테이퍼링 종료 시점(3월)으로부터 길지 않은 시간 내에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음을 언급했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의 기저에 인플레이션이 상당 기간 연준이 목표치를 상회하는 가운데 총수요가 강건하고(strong), 노동시장이 완전고용에 빠르게 근접하고 있다는 판단이 자리하였다. 11월 FOMC에 비해서는 매파적이었으나, 지난 수주간 완전고용보다 인플레이션을..
1. 루시드(LCID) 회사 개요 2007년에 설립된 Atieva라는 기업이 2009년 Lucid로 이름을 변경. 루시드 에어 시리즈의 자율주행 전기차 생산 판매를 하는 미국회사 • CEO, Peter Rawlinson : 루시드의 CEO이자 CTO. 테슬라의 Vehicle 엔지니어링 부서의 부사장으로 역임했으며, 모델 S의 최고 기술 자문 엔지니어로 역임. Corus Automotive에서 Vehicle 부서의 대표 엔지니어로 역임했으며, Lotus Cars에서 최고 기술 자문 엔지니어였 음. Jaguar에서도 엔지니어로 활동 • 테슬라의 사람 : 창업자, CEO, 다수의 엔지니어가 테슬라 출신. 특히 모델 S에 관여한 연구진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는 것으로 알려짐. 공동 설립자인 Bernard Tse..
1. 그랩(Grab) 회사 개요 그랩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모빌리티/ 딜리버리/ 금융 서비스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슈퍼앱". 2012년 말레이시아에서 40명의 택시 기사들과 마이택시로 서비스를 시작, 이후 사명을 그랩 택시로 변경하며 2013년 7월 필린핀, 10월 싱가포르와 태국에 진출. 2018년에는 우버의 동남아 부문을 인수하며 동남 아시아 모빌리티 시장의 지위를 공고히 함. 현재는 동남아시아 8개 국가, 400개 도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모빌리티뿐 아니라 음식 배달, 식료품 배달, 퀵 서비스, e-wallet까지 확장. 최대주주 소프트뱅크 이외 디디추싱과 도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과 삼성전자, 현대차, SKT도 지분 투자. 주요 서비스는 2021년 3분기 기준 모빌리티 ..
1. 리비안 회사 개요 리비안은 R.J Scaringe에 의해 2009년에 설립된 SUV, 전기 트럭 생산 업체. B2C 비즈니스 모델을 주력으로 하지만 아마존 딜리버리 밴 10만 대 수주로 주목. 리비안은 2021/11/10 상장함 • CEO, RJ Scaringe: MIT에서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Sloam Automotive Laboratory 에서 연구원 생활을 한 뒤 졸업. 26살인 2009년에 리비안을 설립. • 테슬라 출신 인재 : 직원 3천여 명 중 직원 178명이 테슬라 출신. 주요 인물은 Nick Kalayjian (Executive Vice President of Engineering, 전 테슬라 경영진), Gerogios Sarakakis(신뢰 평가 엔지니어링 부서 부사장..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